본문 바로가기
세금공부 컨설팅/Q & A 모음

법인통장 비용 이체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틀려도 상관 없는가?

by 인블 Inble 2025. 4. 2.

[질문] 법인통장 이체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틀려도 상관 없는가?

[답변] 네! 법인통장에서 이체한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다르더라도 비용 처리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 1. 법인 비용 처리는 '지출 증빙'이 중요

법인 비용으로 인정받으려면 실제 지출한 내역과 적절한 증빙(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등)이 있으면 됨.
따라서, 이체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달라도 상관없음!

 

📌 예를 들어:

  • 1월 10일 법인통장에서 A업체에 이체
  • 1월 12일 A업체가 법인 명의로 현금영수증 발급
    👉  비용 처리 가능!
법인 비용처리는 지출 증빙이 중요
이체일과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달라도 됩니다만...

 


⚠ 2. 유의할 점

1️⃣ 이체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너무 차이나면 의심받을 수 있음

  • 예를 들어, 1월에 이체했는데 3월에 현금영수증을 받으면 국세청이 확인할 가능성이 있음.
  • 가급적 같은 달 내에 발급받는 것이 안전!

2️⃣ 회계 처리를 할 때는 영수증 발급일 기준으로 하는 게 좋음

  • 법인 회계에서는 세금계산서나 현금영수증 발급일을 비용 발생일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
  • 하지만, 실무적으로는 이체일을 기준으로 하기도 함.
  • 둘 중 하나를 기준으로 일관성 있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

3️⃣ 증빙이 없으면 비용 인정이 어려움

  • 단순 이체 내역만 있고 현금영수증이나 세금계산서를 받지 않으면, 비용 처리가 어려울 수 있음.
  • 특히 부가세 환급을 받으려면 반드시 세금계산서나 현금영수증이 필요!

🔹 결론

이체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달라도 비용 처리 가능
단, 너무 차이나지 않게 발급받는 것이 좋음 (같은 달 내 발급 추천)
회계 처리는 보통 현금영수증 발급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
세무조사를 대비해 일관된 기준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

 

👉 가능하면 이체한 날과 비슷한 시기에 현금영수증을 받는 게 가장 깔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