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법인통장 이체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틀려도 상관 없는가?
[답변] 네! 법인통장에서 이체한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다르더라도 비용 처리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 1. 법인 비용 처리는 '지출 증빙'이 중요
법인 비용으로 인정받으려면 실제 지출한 내역과 적절한 증빙(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등)이 있으면 됨.
따라서, 이체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달라도 상관없음!
📌 예를 들어:
- 1월 10일 법인통장에서 A업체에 이체
- 1월 12일 A업체가 법인 명의로 현금영수증 발급
👉 비용 처리 가능!

⚠ 2. 유의할 점
1️⃣ 이체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너무 차이나면 의심받을 수 있음
- 예를 들어, 1월에 이체했는데 3월에 현금영수증을 받으면 국세청이 확인할 가능성이 있음.
- 가급적 같은 달 내에 발급받는 것이 안전!
2️⃣ 회계 처리를 할 때는 영수증 발급일 기준으로 하는 게 좋음
- 법인 회계에서는 세금계산서나 현금영수증 발급일을 비용 발생일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
- 하지만, 실무적으로는 이체일을 기준으로 하기도 함.
- 둘 중 하나를 기준으로 일관성 있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
3️⃣ 증빙이 없으면 비용 인정이 어려움
- 단순 이체 내역만 있고 현금영수증이나 세금계산서를 받지 않으면, 비용 처리가 어려울 수 있음.
- 특히 부가세 환급을 받으려면 반드시 세금계산서나 현금영수증이 필요!
🔹 결론
✅ 이체 날짜와 현금영수증 발급일이 달라도 비용 처리 가능
✅ 단, 너무 차이나지 않게 발급받는 것이 좋음 (같은 달 내 발급 추천)
✅ 회계 처리는 보통 현금영수증 발급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
✅ 세무조사를 대비해 일관된 기준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
👉 가능하면 이체한 날과 비슷한 시기에 현금영수증을 받는 게 가장 깔끔함! 😊
'세금공부 컨설팅 > Q & A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세사업자도 ‘매입처별세금계산서 합계표’를 제출해야 할까? (1) | 2025.04.17 |
---|---|
세금계산서 발급기한과 작성일자 개념은 완전히 다릅니다 (2) | 2025.04.13 |
챗GPT가 잘못 알려주는 법인인감증명서 발급 방법 (4) | 2025.04.09 |
현금영수증에는 부가세 표시가 없는데 부가세는 어떻게 환급 받지? (0) | 2025.04.03 |
세금계산서는 물품 내역이 적혀 있는데 현금영수증에도 물품 내역이 있나? (2)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