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공부 컨설팅

공무원 퇴직수당, 직접 계산한 금액과 실제 수령액이 다른 이유?

by 인블 Inble 2025. 4. 19.

공무원 퇴직수당은 단순 곱셈으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시뮬레이터 수치와 차이가 나는 이유,

실제 계산 구조를 알기 쉽게 설명드립니다.

 

공무원 퇴직수당 계산 설명


1. 공무원 퇴직수당, 어떻게 계산될까?

공무원으로 20년 이상 재직했다면 퇴직 시

‘퇴직연금’과 함께 ‘퇴직수당’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수당은 단순한 보너스가 아닌,

정해진 공식에 따라 산정됩니다.

퇴직수당 공식: 퇴직수당 = 월단가 × 적용월수 × 가중률
  • 월단가: 퇴직 직전의 평균 보수를 기준으로 산정
  • 적용월수: 수당 산정 기준이 되는 재직 개월 수
  • 가중률: 20년 이상 근속 시 보통 1.2

2. 계산식만 보면 억 단위? 직접 계산의 함정

예를 들어,

월단가가 약 760만 원이고 적용월수 260개월,

가중률이 1.2라면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수당 = 7,625,946 × 260 × 1.2 = 약 2억 3,791만 원

하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나오지 않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 시뮬레이터 결과는

약 4,000만 원으로 훨씬 적게 나타납니다.


3. 실제 수령액은 왜 줄어들까?

시뮬레이터 결과와 직접 계산 결과가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월단가는 단순 합산 금액이 아님
    각 적용 기간별 월단가를 구분 적용해야 함

  2. 시뮬레이터는 복잡한 기준을 반영
    직급, 호봉, 보수 변화 등을 모두 반영

  3. 세금 공제 등 차감 요소 존재
    소득세, 지방세, 건강보험료 등이 공제됨

4. 결론: 시뮬레이터가 정답에 가장 가깝다

직접 계산 방식은 참고용에 불과하며,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건

공무원연금공단의 시뮬레이터입니다.

퇴직수당은
연금공단 시뮬레이터 결과를 기준으로
계획 세우는 것이 안전합니다.

5. 마무리 생각: 숫자보다 중요한 준비

퇴직수당은 분명 중요한 보상이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은퇴 이후의 삶의 전략입니다.

 

수당의 크기보다 그 돈을 어떻게 쓰고,

어떤 구조로 삶을 설계하느냐가 진짜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