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
최근 연금계좌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을 통해 해외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시는 분들께서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 문제로 혼란을 겪으실 텐데요. 사실 대부분은 몰랐던 사실이라 초미의 관심을 받고 있답니다.
오늘은 이 어처구니 없는 문제가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정부의 대응 방안 현황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이중과세 문제의 배경
2021년 세법 개정을 통해 외국에서 납부한 세금에 대한 공제 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
이 개정안은 올해부터 시행되었는데요, 이에 따라 연금계좌를 통해 해외 주식형 ETF에 투자하여 발생한 배당소득에 대해 국내에서 추가로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즉, 해외에서 이미 세금을 납부한 배당소득에 대해 국내에서도 다시 과세되어 이중과세 문제가 제기된 것입니다.
좀 더 상세히 살펴봐야겠지요 ?
이중과세의 구체적인 내용
기존에는 해외 주식형 ETF에서 발생한 배당소득에 대해 외국에서 세금을 납부한 후, 국내에서는 그 차액만큼만 추가로 납부하거나, 외국에서 납부한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이러한 공제 절차가 변경되어, 외국에서 납부한 세액에 대한 공제가 어려워졌습니다.
그 결과, 연금계좌를 통해 해외 주식형 ETF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배당소득에 대해 외국과 국내에서 모두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밀도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지요.
지금까지는 증권사 등의 자산운용사가 국외자산(미국 주식)에 투자하여 얻은 배당금 등에 대해 해외(여기선 미국)에서 세금을 징수당하면 우리나라 국세청이 해당 세금을 환급해 준 뒤 자산운용사가 전액 지급 후, 투자자가 마지막에 해당금액을 수령할 때 소득세 원천징수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사례를 들어 설명 드려 볼께요.
요즘 한창 인기를 끌고 있는 미국주식 국내상장 ETF 등에 투자한 경우 해당 ETF를 통하여 배당금(정확히는 분배금)을 수령할 때 기존에는 증권사가 미국에 낼 배당소득세 15%를 국세청이 14%까지 먼저 환급하여 줬습니다.
이후에 투자자가 배당금을 받을 때 과세당국이 한국의 배당소득세 세율인 15.4%(=배당세 14%+지방소득세 1.4%)를 적용 징수하였답니다. 헌데 미국의 기본 배당소득세가 15%로 한국보다 1% 높아서 실제 추가 징수하는 경우는 없지요.
문제는 과세이연, 세금절약 등으로 한창 홍보하여왔던 연금저축펀드, ISA 계좌 등에서 문제가 터집니다.
해당 계좌는 배당소득세를 배당금 계좌 입급시에 세금 한 푼 떼지 않고 전액 들어왔었는데, 올해 1월부 시행된 이 제도 때문에 배당소득세를 떼고 들어온 것이지요. (연초라 증권사마다 전액 지급 등 사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리되면, 연저펀 투자자 경우, 향후에 연금으로 수령 시 3.3~5.5% 소득세를 최종 납부하는데, 배당소득세도 내고 연금소득세도 내는 두번의 이중과세가 발생되는 것이지요. ISA 계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계좌 해지시에 세금을 떼야 하는데 배당금 수령시마다 세금을 떼고 배당금을 받게 되니 과세이연효과가 없어지는 것이랍니다.
정부의 후속 대책 마련
이러한 이중과세 문제에 대해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기획재정부는 현재 연금계좌를 통한 해외 주식형 ETF 투자에서 발생한 배당소득에 대한 연금소득세를 환급해 주는 방안을 부랴부랴 검토 중입니다.
사실, 이 제도는 수년 전부터 검토하였다가 금투세 적용 유예되며 2025년 올해 시작되는 것으로 지연된 만큼, 충분한 검토의 시간이 있었음에도 이러한 이중과세 문제를 몰랐다는 정부의 실력이 놀랍습니다. 뒤늦은 땜질처방을 뭇매를 맞을 듯 보이는데, 어여 해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현지에서 들리는 소식을 종합하면, 시스템 개선 문제 등으로 개선에만 1년이 더 걸려서 올해는 개선이 어렵다는 부정적 소식도 있기는 합니다. 문제가 있는데 개선하는데 시간이 걸리니 1년을 더 기다려야 한다는 것은 말이 도통 안 될 듯 한데 전력을 투구하여 해결되기를 희망 합니다.
앞으로의 전망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투자업계와 협력하여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다만, 세법 개정과도 관련된 사항이기 때문에 실제로 대책이 시행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지 모릅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관련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시고,
필요에 따라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마무리
해외 주식형 ETF에 투자하시는 분들께서는 이번 이중과세 문제로 인해 많은 혼란과 걱정을 겪으셨을 텐데요.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하니, 상황을 지켜봐야겠습니다.
투자자들이 좀 더 편한 투자 세상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앞으로도 관련된 소식 지속 전달드릴께요. 감사합니다.
인블 올림 😊
'월천혁명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수령 방법 정리 똑똑히 알아보자 (IRP, DC, DB 헷갈리는) (0) | 2025.02.08 |
---|---|
[2탄] 해외주식 배당소득 이중과세 긴급 대처 방안 (과세당국 제도 개선 1년 하세월.. 언제 기다려요?) (1) | 2025.02.06 |
퇴직연금 IRP계좌 위험자산 투자한도 폐지 추진, 곧 주식 100% 투자 가능? (0) | 2025.02.05 |
미국 S&P500 대표 ETF 종목 및 최고 추천 (SPY VOO) (1) | 2025.02.04 |
트럼프 관세 폭격 한달 유예 선회, 증시 회복열차 다시 출발 (증시만 볼 것이 아니라 이것도 봐야만..)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