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관세 폭탄, 증시 출렁… 중장기 투자 기회일까?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정책으로 글로벌 증시가 연일 출렁이고 있습니다.
캐나다, 멕시코를 상대로 25% 고관세를 25년 2월 4일(오늘)부로 부과하기로 했다가,
미 현지시간으로 어젯밤에 30일 한 달 유예로 돌아섰습니다.
(곧 중국 시진핑 주석과의 핑퐁 게임도 볼만하겠습니다)
부과 / 유예 라는 One Day Show를 펼치는 동안,
어제 한국 증시는 새파랗게 질렸고 미국 증시는 반가운(?) 유예 소식에 장 막판으로 갈수록,
낙폭을 줄이며 회복세를 보인 2025년 2월 3일 증시 상황이었습니다.
[참고]
2025.2.4 한국 국내 마감 증시
- 코스피 : 2,453.95 (-63.42p)
- 코스닥 : 703.80 (-24.49p)
2025.2.3 미국 마감 증시
- 다우 : 44,421.91 (-0.28%)
- S&P500 : 5,994.57 (-0.76%)
- 나스닥 : 19,391.96 (-1.20%)
트럼프가 확실히 관세 카드를 들고 만지작 거리는데,
트럼프가 지지하는 암호화폐까지 폭락하며 트럼프는 경제와 암호화폐 둘 다 고민하며,
Deal Card로 사용 중인 상황입니다.
(트럼프는 본인도 트럼프 밈코인을 갖고 있는 꼴이라, 암호화폐 시세도 Care하지 않을지?)
여하튼, 미국과 한국 증시는 관세 충격과 더불어 달러 환율 상승까지 겹치면서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이런 시기일수록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오늘은 트럼프발 관세 폭격에 따른 증시 현황과 이에 따른 우리의 폭넓은 대응에 대한 의견을 풀어 봅니다.
📊 미국·한국 증시, 환율 급등… 원인은?
미국 정부가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에 대해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사실, 2월부 부과개시에서 30일 유예로 한 발 물러서며 캐나다와 멕시코의 반응을 보는 중이랍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투자 자금을 회수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이 약세를 보이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급등했던 어제 입니다. 💵
반대로 오늘(25.2/4)은 환율 약보합, 국내 증시 불꽃(?) 회복세로 2/4일 오늘을 시작하는 중이네요.
특히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주식 매도는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국내 증시에 추가적인 하락 압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달러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라면 환차익을 기대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투자자 분들 중에 미국 증시 직투 내지 국내 상장 미국ETF 투자자라면 어느 정도 충격이 덜하실테고요.
확실히, 제반 여건이 좋지 않을 때일수록 미국달러, 금, 채권에 눈길을 돌려야겠습니다 ^^
📌 변동성 장세에서 투자 전략은?
시장이 급등락하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감정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자산을 다각화하는 것입니다.
단기적인 하락에 흔들려 모든 주식을 처분하기보다는,
지금이 오히려 우량 주식을 저렴하게 매수할 기회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어제 주변의 얼른 팔고 나와야겠다는 이웃님들께 오히려 매수기회로 보심을 권해 드렸네요..)
✅ 1. 우량주 중심의 분할 매수 전략
지금 같은 변동성 장세에서는 실적이 탄탄한 대형주나 배당주를 중심으로 분할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특히,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들은 불확실성이 클 때 방어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S&P 500 내 배당 성장주 ETF(예: SCHD, VIG)가 인기이며,
한국에서도 고배당 ETF(예: TIGER 미국배당귀족, KODEX 미배당 등)에 대한 인기가 높고요. 📉📈
✅ 2. 달러 자산과 채권 투자 고려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미국 달러 예금이나 달러 ETF를 통해 환율 상승에 대비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또한, 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미국 국채 ETF(예: TLT, IEF)나 국내 회사채 ETF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자산군입니다. 🏦
✅ 3. 대체 자산: 리츠(REITs)와 금 투자
부동산 시장이 조정을 받는 가운데, 리츠(REITs)를 활용한 투자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미국 직투 투자자라면, 리얼티인컴(O)에 관심을 갖고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현재 $55불대 횡보세인데, 배당을 꾸준히 지속하는 기업이라 장기 투자 종목으로 유효한 선택으로 보이고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금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일부 금 ETF나 실물 금 투자를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것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도움되겠고요. 🏠✨
(조카 금반지 사기가 주저주저되는 요즘 입니다 ^^)
그리고, 한 발 더 나아간다면,
꽁꽁 엃어붙은 부동산 경기이지만, 최근에는 오피스텔, 상가, 빌라 등도 세세히 살펴야겠습니다.
서울의 경우 토허제 풀면 잠실 등부터 다시 아파트를 주축으로 상승하는 점프 업 시나리오와,
'전세사기' 등으로 촉발된 월세의 전세화 속에 오피스텔, 상가 등이 다시 불꽃 튈 지 모를 일입니다.
(일단 한은의 이번달 금리 발표를 봐야겠습니다. 동결할지 0.25% 수준 인하 할 지,,, 아니면 제3의 선택?)
🚀 결론: 변동성을 기회로 삼아야
시장 변동성이 커질 때마다 불안감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과거 사례를 봐도, 시장은 단기적으로 출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회복해왔습니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시기에는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자산을 분산하며,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무조건적인 낙관도, 지나친 비관도 피하고 균형 잡힌 투자 전략을 세워보세요. 📊
씨앗을 뿌리고 물을 주며 과실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마음으로,
흔들리지 않는 마음자세를 가지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이웃 구독자님들의 부를 항상 응원합니다 !! 인블 드림
'월천혁명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IRP계좌 위험자산 투자한도 폐지 추진, 곧 주식 100% 투자 가능? (0) | 2025.02.05 |
---|---|
미국 S&P500 대표 ETF 종목 및 최고 추천 (SPY VOO) (1) | 2025.02.04 |
배당 ETF 추천 월배당 10% 이상 투자로 월천혁명 달성-환헤지 필요? (2) | 2025.02.03 |
ISA 계좌 활용 및 기본 꿀팁 정리 - 중개형 위임형 신탁형 한방에 정리 (0) | 2025.02.03 |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일정 안내, MZ 직장인 몰린다, 5천만원 프로젝트 (2)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