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공부 컨설팅

국민연금과 건보료 납부액에 적용된 월급여액 모수가 차이나는 이유

by 인블 Inble 2025. 3. 14.

직장인 여러분의 월급여 명세서 공제항목을 보면 매달 국민연금 납부액과 건강보험료(건보료)가 빠지고 있는 것을 보시게 될 터인데, 이미 정해진 요율을 적용하여 계산해도 금액 차이가 있는 것을 보신 적이 있을까요? 오늘은 국민연금납부액과 건보료납부액이 정률로 정해진 숫자를 곱해도 차이나는 배경에 대해 약간은 복잡한 이야기를 풀어 보겠습니다.


 

국민연금에서 계산한 기준소득월액 vs. 건보료 산정시 적용된 회사의 보수월액

국민연금공단에서 계산한 기준소득월액회사의 보수월액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보수월액기준소득월액을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준소득월액과 회사의 보수월액 차이 이해
금액 차이는 기준 모수 금액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1. 보수월액 (Company's Monthly Wage)

  • 보수월액은 회사에서 지급하는 실제 급여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 여기에는 기본급, 정기적인 수당, 고정적인 상여금 등이 포함되며, 매월 지급되는 정기적이고 고정적인 수입이 기준이 됩니다.
  • 그러나 불규칙적인 항목, 예를 들어 상여금이나 성과급 등은 보수월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항목들은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보수월액 산정 시 제외됩니다.

2. 기준소득월액 (Standard Monthly Income for National Pension)

  • 기준소득월액국민연금공단에서 국민연금 보험료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 이 기준소득월액은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하지만, 국민연금법에서 정한 기준에 맞게 재계산됩니다.
  • 기준소득월액보수월액과 유사하지만, 불규칙적 수당, 비과세 소득 등은 제외되며, 국민연금공단이 정한 기준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3. 보수월액과 기준소득월액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 최소 보험료 적용: 국민연금공단은 최저 보험료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소득이 낮다면 최저기준을 적용해 기준소득월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실제 보수월액보다 기준소득월액이 낮을 수 있습니다.
  • 비과세 항목 제외: 교통비, 식대 등 일부 비과세 항목은 보수월액에 포함될 수 있지만, 기준소득월액에서는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보수월액과 기준소득월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이지 않은 상여금 및 성과급 제외: 보수월액에는 정기적이고 고정적인 성과급이나 상여금이 포함될 수 있지만, 불규칙적이고 비정기적인 상여금이나 성과급은 기준소득월액에서 제외됩니다.

결론

국민연금공단에서 계산한 기준소득월액회사의 보수월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 보수월액은 실제 지급된 급여를 기준으로 하며, 불규칙적인 항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기준소득월액은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을 위한 기준으로, 최소 보험료 적용, 비과세 소득 제외, 정기적이지 않은 성과급 제외 등의 규정을 따르기 때문에 보수월액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수월액은 근로자가 실제로 받는 급여를 기준으로 하고, 기준소득월액은 국민연금의 법적 기준에 맞춰 산정되기 때문에, 이 두 금액은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기준소득월액이 보수월액 대비 적은 것이 보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