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천혁명 스토리

SCHD 직접 투자 vs 국내 ETF, 당신의 배당수익은 어디로 흘러갈까?

by 인블 Inble 2025. 5. 6.

SCHD 직접 투자 vs 국내 ETF 투자, 어디가 더 유리할까?

(미국 배당주 투자, 국내 ETF 투자 비교)

SCHD, 너무도 유명한 최애 배당주!


✅ 미국 SCHD 직접 투자란?

SCHD는 미국 배당주 중 우량주만 모은 ETF입니다.


직접 투자하려면

해외 주식 계좌를 열고, 환전하고, 직접 매수해야 합니다.

 

장점

  • 순수한 미국 배당을 100% 받을 수 있습니다.
  • 환차익(환율 변동 이익)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원본 ETF 수익률을 그대로 가져갑니다.

단점

  • 환전 수수료, 해외 거래세가 추가로 듭니다.
  • 연말마다 해외 금융계좌 신고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 관리가 번거롭습니다.

✅ 국내 상장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등이 있습니다.

 

이 중 ACE와 KODEX 상품은

매달 15일 분배락 기준으로,

월중 배당금이 나옵니다. 

 

TIGER와 SOL 상품은

매월말일자 분배락 기준으로, 

월말 배당금이 나오는 상품입니다.

 

한국 증시에 상장돼 있어,

국내 주식처럼 쉽게 거래 가능합니다.

 

장점

  • 환전 없이 원화로 바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 국내 세금 규정이 적용돼 신고가 간편합니다.
  • 매수·매도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단점

  • ETF 운용 수수료(총보수)가 존재합니다.
  • 추종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 환헤지가 없는 상품은 환율 변동 위험이 있습니다.

✅ 핵심 비교 요약


구분 SCHD  직접 투자 국내 상장 ETF 투자
투자 통화 달러 원화
세금 관리 복잡함 간편함
환차익 기회 있음 제한적
비용 환전 수수료, 해외 거래세 운용 보수 (연 0.3% 내외)
편의성 번거로움 매우 쉬움

✅ 결론

"고수익과 환차익"을 노린다면 SCHD 직접 투자,
"편리한 관리와 간편 투자"를 원한다면 국내 상장 ETF가 답입니다.

 

특히, 소액으로 배당주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라면
국내 ETF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핵심:
투자 목적과 관리 능력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무엇을 선택하든, 실행이 최선의 정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