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천혁명 스토리

25년 2월 뉴욕증시 폭락, 워렌 버핏의 S&P500 전량매도가 답인가?

by 인블 Inble 2025. 2. 22.

미국 현지시간 2025년 2월 21일, 한 주의 마지막 금요일 뉴욕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 소비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을 회피하였고, 그 결과 나스닥 지수가 무려 2.2% 하락하였습니다.

 

특히, 테슬라(TSLA), 애플(AAPL), 마이크로소프트(MSFT) 등 M7(마그니피센트 7) 종목이 대폭 하락하면서 시장 전반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반면,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채권 시장은 매수세가 몰리며 급등하였습니다.

 

2월 미국 증시 폭락 공포와 성공 전략 알아보기
뉴욕 증시 간밤에 대폭락, 앞으로 우리의 전략은?

 

이러한 변동성 속에서 포트폴리오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워렌 버핏이 최근 S&P500 전량 매도를 결정한 것이 신의 한 수였을까요?


M7의 급락, 투자 심리를 강타하였습니다

2024년 내내 상승 랠리를 이어온 M7(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테슬라, 알파벳, 메타)이 올해 들어 조정을 받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하락은 단순한 조정이 아니었습니다.

  • 애플(AAPL) -3.1%: 아이폰 판매 둔화 우려
  • 테슬라(TSLA) -4.5%: 중국 시장 점유율 하락 및 대규모 리콜 소식
  • 엔비디아(NVDA) -3.8%: 반도체 업종 동반 약세

이처럼 빅테크 기업들의 급락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를 강하게 끌어내렸습니다. 반면, 다우지수는 1.69% 하락, S&P500 지수는 1.71% 하락하는 데 그쳤습니다. 기술주 위주의 투자자일수록 이번 하락의 충격이 컸을 것입니다.


채권, 안전자산으로 급부상하였습니다

주식이 폭락하자 시장의 자금이 안전자산으로 몰렸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국채 금리는 급락하였고,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3.9%까지 하락하면서 가격은 급등하였습니다.

 

채권이 주목받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경기 둔화 조짐: 소비심리가 꺾이면서 안전한 투자처로 이동
  2. 금리 인하 기대감 확대: 연준의 금리 정책이 주목받으며 채권 가격 상승
  3. 위험 회피 심리: 주식 시장 변동성이 증가하면서 안전자산 선호

이와 동시에 금 현물과 금 ETF에 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리고 있습니다. 안전자산에 대한 강한 인식이 작용하고 있네요.


저의 작은 경험: 포트폴리오 분산이 살렸습니다

사실 저도 작년까지 기술주 위주의 투자를 하고 있었습니다. 엔비디아와 테슬라 같은 고성장 종목에만 집중한 덕에 2024년에는 꽤 큰 수익을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연말부터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포트폴리오 재조정을 하였습니다.

  • 기술주 비중 60% → 40% 축소
  • 미국 국채 및 단기 채권 ETF 30% 편입 (여기에 월배당 ETF와 전통의 배당강자주들도 포함되고요)
  • 원자재(금, 은) 10% 추가 (사실 저는 요즘 일부 매도하고 있습니다. 리밸런싱 작동 중이지요)
  • 현금 보유율 10% 유지 

덕분에 이번 뉴욕증시 급락에서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술주 100% 투자를 유지하였다면 큰 타격을 입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니다. 그 누구도. 

 

월배당 100만원 도전 성공기는 아래 이전 글을 참조하여 주세요. 도움 되실 거에요. 

 

30대 직장인의 한 달 100만원 배당 월세 받기

매달 100만 원의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연간 1,200만 원(=100만 원 × 12개월)의 배당 수익이 필요합니다. 이를 달성하려면 배당 수익률 10% 이상의 월배당 ETF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inble1000.tistory.com

 


투자 교훈: 분산 투자 없이는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이번 뉴욕증시 폭락이 주는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한 방향으로만 투자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특히, M7과 같은 특정 섹터에 집중 투자하는 것은 상승장에서는 유리하지만, 하락장에서는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투자 성과를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분산 전략이 필수입니다.

기술주에만 몰빵하지 말 것

채권, 원자재, 현금 비중을 적절히 조정할 것 (추가로, 배당주와 같은 Cash Flow ETF를 담아 둘 것)

시장 변동성에 대비한 리밸런싱 마련할 것

 

지금 같은 장세에서는 단기적인 변동성에 흔들리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균형 잡힌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이번 하락장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계신가요? 💬 인블 드림